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컨테이너 차량 통행 ‘뚝’…부산항 ‘비상’
시간당 1000대 이상 출입하던 부산항 신항 터미널 차량 통행 크게 줄어
비노조 차량 기사들도 운송 방해 우려해 운전대 안 잡아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물류 현장 곳곳에서는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사태 장기화시 피해는 더 커질 전망이다.
수도권으로 시멘트를 공급하는 경기 의왕(부곡) 유통기지에서는 화물연대 차량이 진입로를 막아 시멘트 운송이 전면 중단됐고,
충북 단양과 제천, 강원 영월 등 주요 내륙사 시멘트 공장에서도 화물연대의 점거로 시멘트 출하가 전면 중단된 상태다.
시멘트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아직 다른 유통기지 봉쇄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지만, 파업 영향으로 시멘트 출하 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통업계는 전체적으로는 물류센터와 대형마트 지점 등을 연결하는 차량의 화물차주들의 파업 참여 비중이 크지 않아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되지 않을까 우려하며 파업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 파업 참여자들의 운송방해행위와 물리적 충돌 등 불법행위를 막기 위해 주요 물류거점에 경찰력 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해운업계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당장 부산항 운영에 차질은 빚어지지 않지만,
1주일 이상 길어지면 예약된 수출입 화물을 선박에 싣지 못해 선사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부두 운영사도 파업을 앞두고 원활한 본선 작업을 위해 빈 컨테이너를 외곽으로 빼내 부두 내 장치율을 낮추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부두 내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비율인 장치율은 북항과 신항 10개 터미널 평균 73.9%를 유지하고 있다.
평소 70%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조금 높은 수준이지만 부두밖 공간의 장치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어 사태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화물연대의 요구사항은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와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 운송산업 구조 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 보장 등이다.
핵심 요구사항인 안전운임제는 화물 운송에 들어가는 최소한의 비용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는 경우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다. 화물 기사가 낮은 운임 탓에 무리한 운송 등 과로·과속에 내몰려 발생하는 사고를 줄이고자 2020년 도입, 올해 연말 종료된다.
이 제도가 유지되면 운송료가 연료비에 연동해 조정되기 때문에 최근처럼 유가가 급등해도 화물 기사의 수입이 일정 수준 유지된다.
화물연대는 특히 최근 경유가가 리터당 2000원을 돌파하면서 화물 노동자들이 매달 유류비가 수백만원 추가 지출되는 등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